전북대병원 삼킴장애 클리닉 개설

전북대병원 재활의학과가 삼킴 장애(연하곤란) 클리닉을 열고 6월말부터 본격적인 치료를 시작한다.

 

삼킴 장애는 입과 식도, 위 등에서 이상이 생겨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증상으로 심할 경우 음식이 폐로 흘러가 흡인성 폐렴이나 질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삼킴 장애 클리닉은 식이요법과 함께 전기 자극, 구강 촉진법, 구강 근육운동, 발성 훈련 등 삼킴 운동에 쓰이는 근육 기능을 증진시키는 치료를 진행한다.

 

재활의학과 심영주 교수는 “음식 섭취가 생명 연장과 삶의 질에 연관된 만큼 삼킴 장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삼킴 장애는 뇌졸중 등 환자의 재활치료 기간을 늘리고 폐렴으로 환자의 사망률도 높일 수 있기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심 교수는 또 “음식물 섭취 곤란으로 인한 영양실조와 탈수, 호흡기로 음식물 흡인 등 삼킴 장애의 증상이 있는 경우와 구강 및 인·후두에 다양한 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경우에도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삼킴 장애는 주로 신경근육계 질환과 구조적 이상이 있는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