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대] '기러기 아빠'

한국에서만 있을수 있는 특이한 현상의 하나가 바로 기러기 아빠이다. 기러기 아빠란 자식교육을 위해 자식과 아내를 해외로 보내고 혼자 사는 남자를 지칭한다.

 

지난 2005년에 해외 조기 유학생은 2만 4천명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과 경기지역이 약 80%를 차지한다. 여기서 말하는 조기 유학이란 초중고교를 말하는데 초등학교 유학이 제일 많다. 조기 유학 대상지역으로는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뉴질랜드이어서 영어권의 나라가 압도적이다. 이런 현상은 유학의 목적이 한마디로 영어를 조기 습득시킬려고 하는데 있다고 보여진다.

 

조기 유학붐이 상승하면서 캐나다의 뱅쿠버나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지역은 등록되어 있는 한국 학생들이 너무 많아 신규 학생숫자를 제한하겠다고 까지 하고 있다. 이렇듯 교육 엑소더스라는 명예롭지못한 별명을 안고있는 한국의 조기유학으로 해외로 빠져나가는 돈이 3조원이 넘는다고 한다. 국내에서의 사교육비가 4조원을 넘는다는 통계가 있는데 조기 유학비와 사교육비를 합치면 7조원이라는 엄청난 숫자에 압도당할수 밖에는 없다. 우리 교육은 영어에 엄청난 국력을 쏟아붇고 있는 형편이다.

 

어린 나이에 자기 모국어를 제대로 배우지도 못한 단계에서 외국어를 배우게 되면 자아 정체성 확립에 엄청난 혼란을 겪게 된다고 한다. 우리가 쓰는 단어는 그 나름대로의 생성배경이 있기마련이다. 이런 언어 배경은 생활속에서 점진적으로 터득하게 되는데 이런 과정을 생략한채 다른 나라 언어에 접하게 되면 자아 정체성 확립에 문제가 생길수 있다.

 

외국의 교육 시스템과 교과 과정이 좋아서 조기유학을 보내는 것은 모르겠으나 단지 영어 하나 제대로 배우겠다는 심산으로 조기유학은 위험천만한 모험일뿐이다.여기에다 기러기 아빠들은 혼자 있는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술에 의존하는 사람이 4명중 1명꼴이다. 그들의 가족들에 대한 근심, 가족들의 생활비까지 책임을 져야하는 2중 3중의 부담은 알코올 의존도를 높이는 원인이다.

 

이런 현상은 세계에서 우리만의 독특한 사회현상이라고 보아야할 것이다. 우리 교육시스템에 문제를 우리 스스로가 함께 풀어갔다면 처량한 기러기 아빠들이 있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