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어로 ‘소규모 전투’라는 뜻의 ‘게릴라(guerrilla)’라는 말이 처음 쓰인 것은 1809년 영국의 이베리아 해방전때 였다. 당시 영국의 웰링턴장군을 도와 프랑스군을 이베리아 반도에서 몰아내는데 큰 공을 세운 스페인―포르투갈의 비정규군을 ‘게리예로스(guerrilleros)’라고 부른데서 유래되었다. 게릴라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빨치산’은 프랑스어로 ‘동지’ 또는 ‘당파’라는 뜻의 ‘파르티잔(partizan)’에서 와전된 것이다.
게릴라는 조직적인 지휘나 통신, 보급체계 등이 없이 단독 또는 소규모 부대의 행동에 의해 상대의 배후를 기습하여 전과를 거두고 신속하게 빠져나와 일반 민중속에 숨어 반격을 피한다. 소규모로 출몰하다 보니 예측이 불가능할 수 밖에 없다.
게릴라의 속성을 인용해 ‘게릴라성 호우’라는 말이 얼마전 부터 등장해 자주 쓰이고 있다. 일기도에도 잡히지 않고 곳에 따라 불쑥불쑥 나타나 호우를 퍼붓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붙여진 수식어다. 일정하게 비가 내리는 장마비 보다 시간당 30∼ 40㎜의 게릴라성 호우가 더 큰 수해를 일으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최근 충북 제천을 비롯 강원도 일부 지역의 큰 피해가 이같은 국지성 집중호우로 빚어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7월말쯤 장마가 끝나면 8월초 부터는 폭염이 시작되는게 그동안의 날씨 패턴이었다. 이런 전형적인 형태가 올해는 전혀 모습을 달리하고 있는 것이다. 8월들어 전국적으로 거의 매일 거르지 않고 비가 왔다. 예년 보다 강수예보 정확도가 떨어지는 바람에 기상청 예보관들은 곤혹스럽기 짝이 없는 모양이다. 휴가를 망친 직장인들이나 피서지 상인들도 불만족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이같은 게릴라성 호우는 대기 불안정과 해수면 온도 상승, 태풍의 끝자락인 열대 저압부의 북상등이 작용한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도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내일(14일)이 말복이다. 올해는 월복(越伏)으로 늦더위까지 예상된다. 계속되는 후텁지근한 날씨로 불쾌지수는 자꾸 올라가고, 저녘에는 열대야 까지 겹쳐 짜증을 더한다. 하지만 지금부터의 결실기는 곧 태풍철이기도 하다. 한해 농사를 결정짓는 중요한 시기다. 해마다 겪는다고 해서 방심은 금물이다. 시설물 관리등 철저한 대비책 마련에 힘쓸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