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분야에서도 과거 당시에 그랬던 것처럼, 우리 시대에 전통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건축의 전통성이란 시간적 흐름의 상에 주어진 조건에 의해 나타나는 시대적, 장소적 삶의 물리적, 정신적 현상과 결과물로 보아야 한다.
현재 우리가 고건축, 근대건축, 현대건축이라고 시간의 틀에 의해 구분하고 있는 모든 결과물들은 ‘그 당시의 현재 건축’들이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대적 구분에 의해 전통건축이라고 불리는 과거의 건축 또는 고건축 모두가 전통성을 가진 건축이라고 볼 수는 없으며, 전통건축은 고건축과는 별개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건축에 관련된 전통성에 대해 정의 자체가 불분명한 채, 일반적으로 고건축을 전통건축으로 통칭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근세의 서구화 과정의 시기에, 서양으로부터의 받아들여진 현대적 문화권의 건축과 당시의 건축을 구별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사용한데 기인했으리라 여겨진다.
또 전통건축이라는 용어에 대한 관심은 우리나라가 급속한 서구화 과정을 겪은 후 1970-80년대에 일기 시작한 우리 고유문화의 정체성 확인 욕구와 함께 더욱 부각되어, 지금까지 이 용어가 고건축의 고유성을 대신하여 왔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전통건축이라는 용어의 개념 자체가 시대적 구분을 위한 고건축의 통칭 개념이나 고유문화의 정체성의 확인을 위한 상대적 개념이 아니라, 우리나라 건축 역사에서의 각 시대별 전통성을 규명할 수 있는 개념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건축에 관련된 전통성을 해석할 수 있는 인자로서는 햇빛, 기후, 바람, 땅, 물 등의 ‘풍토적 요소’, 그리고 ‘민족성’, ‘역사성’, ‘장소성’ 등의 불변적 인자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 ‘건축 관련 입지환경’, ‘기술’, ‘자재’, ‘법규’, ‘교통’, ‘기능적 수준’ 등의 가변적 인자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최근도 계속되고 있는 건축의 전통성과 현대성의 개념에 대한 논란은 형태와 재료 등의 단편적 표상으로 판단할 일이 아니라 우리시대의 불변적, 가변적 인자들을 어떻게 현대적으로 수용하는 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우리 시대와 우리 장소에 맞는 우리의 건축에 새로운 현대적 전통성을 부여하는 노력이 뒤따라야할 것이다.
/건축가·전주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