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대] 버섯

고대 그리스나 로마인들은 버섯을 ‘신의 식품(the food of the gods)’이라고 극찬했다. 그만큼 맛과 영양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불로장수를 꿈꾼 진시황은 불노초(不老草)를 얻기 위해 동남동녀 3000명을 신선술사(神仙術師)와 함께 동쪽으로 보냈다. 여기서 불노초는 흔히 인삼과 영지(靈芝), 즉 신령스런 버섯을 일컫는다. 영지는 늙은 매화나무 10만 그루 가운데 2-3 그루 정도에서 채취할 수 있는 희귀한 것이다.

 

또한 버섯은 세계 3대 진미중 하나로 꼽힌다. 칠갑상어의 알인 캐비어와 거위나 오리의 간을 키운 푸아그라, 송로(松露)버섯이 그것이다. 프랑스에서 최고로 치는 송로버섯(트뤼플)은 땅 속에서만 자라기 때문에 훈련받은 개나 돼지의 코를 이용해 찾아야 한다.

 

한반도에는 1500여 종의 버섯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능이, 이 송이, 삼 표고’라 해서 세가지를 최고로 친다. ‘향(香)버섯’이라고도 하는 능이는 참나무 뿌리에서 군생한다. 암세포를 억제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등 의약품으로 인가된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 송이는 향이 으뜸이나 오래 보존하기 어려운 게 단점이다. 살아있는 소나무 뿌리에서만 자라며 ‘버섯의 귀족’으로 불린다. 동의보감에는 ‘성질이 평(平)하고 달며 독이 없다. 맛이 매우 향기롭고 솔 냄새가 난다’고 했다. 백두대간인 함경도 칠보산과 경북 북부, 강원 영동이 주산지다. 지난달 노무현 대통령 방북과 2000년 김대중 대통령 방북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각각 4t과 3t을 추석선물로 보내와 화제가 되었다. 능이와 송이는 아직 인공재배가 불가능하다. 표고는 건조하면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맛과 향이 생버섯 못지 않다. 2004년 미국식품위약국(FDA)은 말린 표고를 10대 항암식품으로 선정한 바 있다.

 

이들 이외에 진기한 버섯도 많다. 곤충에 기생하는 동충하초, 갓에 구멍이 숭숭 뚫린 곰보버섯, 건드리면 연기가 나는 말불버섯, 남성 성기를 닮은 말뚝버섯, 먹으면 신경을 자극해 웃음이 나오는 환각버섯이나 말똥버섯 등이 있다. 하지만 야생버섯을 함부로 먹었다간 큰 일이다. 독버섯이 의외로 많아 중독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다.

 

세계버섯축제가 2-4일 우석대에서 열린다. 이번 축제가 인간과 함께 해 온 버섯의 진가를 아는 기회였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