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따구리] 얼어붙은 건설업 경기

은수정 기자(경제부)

건설업 경기전망이 암울하다. 이번엔 지역 건설업체들과 관련기관들이 직접 건설업 경기전망을 이렇게 내놓았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실시한 모니터링을 통해서다.

 

올해 도내에서 부도난 건설업체는 32개다. 신일 동도 진보산업개발 등 지역경제계를 긴장시킨 대표·중견업체뿐 아니라 더 많은 건설업체들이 문을 닫았다. 부도금액도 91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23개업체 218억원에 비해 692억원 폭등했다. 건설업의 잇딴 부도는 전북지역 어음부도율을 7년여만에 최고치로 만들었다.

 

전북 산업계에서 건설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크다. 2005년 기준 9.8%. 지방평균 8.7%보다 높다. 건설업이 다른 산업에 비해 고용창출효과가 큰 점을 감안하면 건설경기 부진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크다. 한은의 모니터링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뤄졌다.

 

모니터링 결과 건설업계는 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수주환경이 지역업체보다는 대기업에 유리한데다 주택시장도 얼어붙었고, 도내에 예정된 대형국책사업도 2009년 이후에나 착공되는 등 건설경기를 활성화시킬 요소가 당분간 보이지 않기 때문이란다.

 

특히 건설업계는 최저가낙찰제 적용대상 확대와 BTL제도 시행 등 건설수주환경의 변화가 지역업체들의 설 자리를 위축시켰다고 했다. 실제로 올 9월까지 도내 공공공사 발주액이 5673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증가했지만 도내업체 수주액은 3932억원으로 오히려 지난해보다 7.8% 감소했다. 또 9월까지 도내에서 시행된 BTL사업 6건 2465억원 협약체결에 지역업체 시공참여비율은 46.3%에 그쳤다. 주택매수수요 위축도 영향을 미쳤다. 도내 미분양아파트가 9월말 현재 5000여세대에 이르는 등 주택시장도 한겨울이다.

 

따라서 건설업계는 별도의 활성화대책을 세워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건설업계 회생뿐 아니라 전북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라도 내리막길에서 질주하고 있는 건설업계를 멈추게 해야 한다고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