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따구리] 기록물 관리 본고장 맞나

김준호 기자(사회부)

전주시의 역사와 발전과정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각종 기록물에 대한 관리가 허술하다는 지적이다.

 

이 문제는 전주시의회 국주영은 의원이 7일 열린 시정질문에서 제기하면서 불거졌다.

 

그는 “기록물 관리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관련 법률이 제정·시행되고 있는 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기록물 관리가 의무화되고 있다”면서 “그러나 시의 기록물 수집은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등 관리의 혁신이 요구된다”며 지적했다.

 

그는 이에 대한 근거로 전주시의 ‘자료관운영규칙’을 들었다.

 

규칙상 각 실·과장 등은 기록물의 보관기간이 경관되면 해당 목록과 함께 기록물을 자료관으로 이관토록 하고 있으나, 현재 상황에서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더구나 보존되고 있는 기록물들의 99%는 각종 계약서·도시계획·시유재산목록 등으로, 정작 중요한 정책입안과 집행과정, 성과 등의 기록물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보관가치가 높은 민간 기록물 등이 무관심속에서 사장되고 있다고 제기했다.

 

국주영은 의원은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기록물과 근·현대사 100년 동안 전주의 역사를 담고 있는 기록물들이 관리되지 않고 있다”면서 “더불어 민간소장의 가치있는 수많은 기록물들도 방관속에 훼손되면서 방치된 채 사라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상황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조실록을 임진왜란중에서도 온전하게 지켜내어 기록물관리의 본고장이란 명성을 얻고 있는 전주시의 자존심에 적잖은 손상을 입게 됐다.

 

이에 다소 늦은감이 없지 않지만 ‘기록박물관’ 건립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기록물은 당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자료이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도 매우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를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고, 이를 통해 또다른 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후손들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