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 인해 공직기강과 원칙이 무너졌고, 공직사회는 ‘혼란기’를 겪어야만 했다.
다행스러운 것은 지난 조직개편이후 부군수와 담당과장이 원칙론을 펼치면서 현재는 공직사회가 서서히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는 것.
한 공무원은“군수공백기간에 일부공무원들이 성과급과 다면평가에 영향을 주기위해 각 실과 소 및 읍면을 다니며 비회원을 공개하는 등 영향력을 행사했을 뿐 아니라 부안군 인터넷 홈페이지에 코드가 맞지 않은 공무원에 대해 비방 댓글을 올리고 악성댓글을 달아 당사자에게는 정신적 고통주고, 홈피를 찾는 네티즌들에게 부안군 이미지를 크게 실추시켰다”고 지적했다.
주민 이모(39)씨도 “일부 공무원들이 쓴 것으로 보이는 특정 공무원을 비방하는 듯한 성명서가 부안관내 터미널 등 다중 이용시설이나 아파트 게시판에 붙여있는 것을 보았다”면서“이제는 이 같은 상식 이하의 일들이 이제는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일부 교장선생님을 비롯한 지도층인사들은 “군민 대화합과 올바른 부안군 공직사회를 위해서는 검증되지 않은 조직개편 보다는 현 체제를 유지해 공직사회의 안정과 공직기강을 바로잡아야 한다”면서“김 군수는 첫 단추를 잘 끼워서 직전군수의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들은 이어“김 군수가 무엇보다도 ‘화합’을 강조한 만큼 보복인사나 정치보복 등 직전 군수의 우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고 지적한 뒤“측근들 또한 ‘점령군’처럼 행동하거나 지나치게 행정에 관여해 군정이 중구난방이 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