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와 전주시도 상당한 견해차를 드러내고 있다.
김완주 지사는 지난달 25일 ‘전주시 전략산업육성 보고회 및 도민과의 대화’에서 전라감영 복원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지사는 경상감영의 사례를 들며 전라감영 복원이 구도심 활성화에 생산적이지 못하는 의견을 나타냈다. 김 지사는 인구를 유입할 수 있는 시설이 들어서야 한다는 견해도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예정대로 전라감영 복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또 복원사업비 확보가 최대 과제라는 전제하에 새 정부에 재정적 지원을 얻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김 지사의 견해를 박제화된 전라감영 복원사업을 경계하는 의미로 이해한다고 덧붙였다.
이런 전라감영 복원에 대한 찬반양론에서 하나의 공통된 목표를 발견할 수 있다. 어떤 사업을 전개하더라도 그 사업을 바탕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자는 것이다. 전라감영을 복원하면 문화적 가치와 한옥이 맞물려 더 많은 관광객 유치가 가능하다는 논리와 현대적 관광인프라가 만들어지면 전주시 구도심 상권이 부활할 수 있다는 주장이 이런 사실을 뒷받침한다.
지역 경제활성화는 지방자치단체의 끊임없는 화두다. 전라감영 복원사업도 이런 화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전북도청이 이전하면서 전주시 구도심 활성화를 위해 본격화한 전라감영 복원사업.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큰 틀에서 전라감영 복원에 찬성하는 쪽이든 반대하는 쪽이든 머리를 맞대고 현명한 대안을 찾아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