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따구리] 특정인 음해 차량파손 - 임상훈

임상훈(사회부)

유명 연예인들이 인터넷 게시물에 달린 악의적인 댓글, 이른바 악플에 시달리다 스스로 목숨까지 끊는 사건이 심심찮게 발생한다. 익명성을 노려 불특정 다수에게 악의적 소문을 내, 자신을 괴롭히는 것을 견뎌내지 못한 것이다.

 

설명절기간 전주시내에서는 ‘오프라인 판 악플’이 기승을 부렸다.

 

불특정 다수의 차량을 게시판 삼아 특정인을 음해하는 내용의 낙서를 하고 차량을 파손하는 것이다.

 

지난해 5월께 전주시 송천동 일대에서 20여건가량 발생했던 이 같은 오프라인 판 악플이 설명절 기간 또다시 발생했다. 전주시 송천동에서 최소 10여건, 전주시 동서학동에서 6건이 경찰에 신고접수되는 등 이번에는 발생 범위를 넓혔다. 물론 이는 신고된 건수로, 신고되지 않은 차량까지 합하면 피해차량 수는 세자리 수에 육박할 것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불특정다수를 노린 차량파손은 날카로운 송곳으로 차량을 긁는 것 이상으로 낙서에서 언급된 특정인의 인권을 해치고 심할 경우 병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실제 송천동에서 발생한 차량파손에 언급된 전주시의 한 공무원은 이와 관련한 스트레스로 3개월간 췌장염으로 입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동서학동에서 발생한 차량파손 관련 공무원 역시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한 채 “영문도 모르는 채 이같은 일을 당하니 억울하기도 하지만 친척과 동료들이 알까봐 움츠러든다”며 보도를 하지 말아달라는 당부를 연신 했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나랴’는 속담처럼 잘못이 없더라도 사건을 알게 될 주변의 시선이 두렵다는 것이다. 어쩌면 차량파손을 하는 자가 노리는 바도 이 점일 것이다.

 

개인의 인권을 해치고 무고한 시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이 같은 오프라인 악플이 모방범죄로 이어져 유행처럼 번지지 않아야 할 것이다. 밤샘 잠복을 하는 형사들이 하루빨리 성과를 내, 이같은 범죄를 근절시켰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