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서초동 금융위원회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어 "산업은행은연초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밝힌 바와 같이 민영화가 가능한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전 위원장은 "지주회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선진화된 지배구조를 구축해 매각 가치를 극대화할 계획"이라며 "매각 대금으로 새로운 정책금융 전담기관인 가칭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펀드'(KIF)를 설립해 필요한 공적 기능을 효율적으로 추진하도록운영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민영화 방침이 산업은행의 외화조달 창구 역할을 지속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겠다"며 "그간 산업은행이 담당해 온 기업 구조조정과 회생 업무 등 시장안정 기능을 대체할 방안을 마련하고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등 중소기업 지원 체계의 전면적인 개편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금융 규제를 기능별, 금융권역별로 전수 조사해 모든 규제를 제로베이스에서 재검토하고 존치 필요성을 입증하지 못한 규제는 폐지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이를 위해 민간 위원들로 `금융규제개혁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기존 규제를 존치, 완화, 폐지 등 3등급으로 분류해 정비하기로 했다.
전 위원장은 금융 소외자에 대한 지원 방안과 관련, "현재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구체적인 지원 대상과 규모, 방법 등은 5월까지 사금융시장에 대한 면밀한 실태 조사를 벌여 그 결과를 토대로 확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금융시장의 대외 불안 요인에도 불구하고 현 단계에서 우리 금융회사의 건전성이나 외화 유동성 등에 큰 문제가 없다"며 "잠재 위험 요인에 대해서는 실행 가능한 조치를 적기에 추진해 파급 효과를 최소화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