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도내 기업들이 원자재가 상승과 수출대상국의 경기부진 가능성 등 악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달러 환율상승 등에 따른 기대심리가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도내 수출기업들은 특히 수출상담과 계약이 늘어나고 이에따라 설비가동률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연관돼 설비투자도 늘어나고 수출원가도 높아지며 수출경쟁력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가격도 상승하면서 수출채산성도 다소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원자재가 상승이 여전한 부담요인으로 작용하고, 원-달러환율의 변동성 확대도 수출기업들에 애로요인이 될 것이라고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