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공백이 장기화되면서 후임 보건소장 인선을 놓고 전주시와 시민단체간에 미묘한 갈등 양상마저 표출되고 있다.
전주시는 후임 소장을 보건행정직 공무원으로 인선할 계획인 반면 의사회와 시민사회단체는 전문의료인(의사면허 취득자)의 인선을 요구하고 있는 것.
당초 시는 후임 소장을 보건행정직 공무원으로 인선하려 했으나 전북도와의 인사교류가 이뤄지지 않아 무산됐었다.
이같은 시의 공무원 출신 보건소장 임명에 대해 의사회 등은 '보건의료의 전문성을 간과한 처사'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전북도 의사회는 이달 17일 성명서를 통해 보건소장의 공백 장기화에 대한 유감을 표명하면서 "시민건강의 효율적 관리와 지역보건 사업의 내실화를 위하여 능력있는 의사출신의 보건소장이 임용돼야 한다"며 시의 인사방법 철회 및 의사출신 보건소장 임용 등을 요구했다.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도 27일 성명을 내고 "보건행정직을 소장으로 임명하려는 것은 의사가 없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으로, 보건소를 찾는 시민들에게 안전과 신뢰감을 줄 수 없다"며 "(보건소장직을) 전문의료인이 수행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전개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전주시는 "현재 시 보건소에는 2명의 의사가 있어 진료에는 별 문제가 없다"면서 "더구나 전주시 보건소장은 군 단위 보건소와는 달리 진료를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보건행정 전반을 운영·관리해야 하는 역할"이라며 전문의료인 출신만의 보건소장 임명 요구를 일축했다.
시 조례상 전주시 보건소장직은 보건행정 및 간호직 공무원과 전문의료인 등 3복수로 되어 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아직 최종적으로 확정되지 않았지만, 현재 다각로 임명방안을 마련중"이라며 "빠른 시일내에 후임자를 임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