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대운하를 놓고 찬.반 양론이 있으나 지금은 정치 쟁점화가 돼 합리적 인 토론이 안된다"면서 "청와대가 (대운하 추진을 위해) 앞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대운하는 국가적 차원에서 보면 앞으로 다가올 물류환경 변화, CO2 배출규제, 교토의정서 발효 등을 감안해야 한다"면서 "제2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할 경우 예산문제만 해도 상상할 수도 없다"고 지적한 뒤 "이런 측면에서 대운하를 장기 국가과제로서 검토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대선공약으로 내건 것이나 본뜻과는 달리 정쟁의 대상이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토해양부의 대운하 추진보고서에 대해 "국토해양부 내부에서 한 것으로 청와대와는 전혀 관련이 없으며, 보고서를 만들어 갖고 오지 말라고 한 데도 있다"면서 "실무 입장에서 모든 가능성을 갖고 자료를 준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아직 한반도 대운하를 추진하겠다, 하지 않겠다고 결정된 것이 없다"면서 "대통령 공약사항인 만큼 당연히 검토할 것이나 국민 설득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1년 정도 충분한 여론 수렴 과정을 거칠 것이고 여론을 수렴하다 보면 대운하의 장.단점이 나올 것"이라며 국민 여론이 여의치 않을 경우 대운하를 추진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