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이 시민들은 광고효과가 미미한데도 불구하고 불특정다수에게 배포되는 전단지가 시민들을 불법투기자로 만들고 있다는 의견이지만, 정작 업주들은 '비용대비 효과가 좋다'고 주장해 전단지와의 전쟁이 끊이질 않고 있어 관계당국의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전주지역의 대학가와 객사 인근의 청소용역을 담당하는 업체들에 따르면 주말에 수만장의 전단지가 길가에 버려지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소각되고 있다. 걷고싶은거리의 경우 하루 100리터규격봉투 2개 분량의 전단지가 수거되고 있어 매일 전단지와의 전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신학기를 맞아 새로운 수요층에 사업을 홍보하려는 각종 사업체들이 젊은 층을 대상으로 인파가 붐비는 지역에 집중적으로 전단지를 살포하기 있기 때문이다. 또 총선관련 난무하는 명함들이 주인을 잃은 채 골목 등에 버려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6일 전북대 인근에도 전날 배포된 전단지 가운데 일부가 길가에 불법쓰레기로 흩어져 있었다. 진모씨(27·전주시 호성동)는 "받기 싫은 전단지를 배포하면서 시민들을 불법투기자로 만드는 것이 아니냐"면서 "원천적으로 이를 방지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업소 관계자는 "배포하는 전단지는 100개 가운데 5개만 소비자에게 읽혀도 성공"이라며 "전단지는 장당 30원 가량의 원가에 비해 광고효과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매상이 잘 오르지 않는 날은 하루 2차례에 걸쳐 수백장씩을 배포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자치단체 관계자는 "불법광고물에 대한 강력한 단속이 이뤄져야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다"면서 "시민들을 불법투기자로 만드는 전단지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