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카이저가족재단이 지난 3일부터 13일까지 성인 2천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 본인이나 가족 가운데 배우자를 통한 의료보험 혜택을 받기 위해 결혼한 경우가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7%가 그렇다고 답했다.
결혼을 결정하는 요인 가운데 의료보험을 꼽은 응답자들의 60%가 연간 가계 수입이 5만 달러 수준이었고 18~34세가 40%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여러 경제 상황 가운데 우려하는 순위로 고유가(44%)와 직장 및 승진(29%)에 이어 의료보험(28%)을 꼽을 정도로 의료보험의 심각성이 대두됐다.
현재 미국에서 의료보험 인상률은 경제성장률의 약 2배나 되고, 고용주 입장에서 직원 개인용으로 평균 4천500 달러, 가족까지 혜택을 주는 의료보험비로 평균 1만2천 달러를 부담하지만 결혼하지 않고 동거하는 파트너에 대해서는 의료 혜택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 응답자의 약 4분의 1은 지난해 직장을 지키거나 옮기는 문제를 결정할 때 의료보험을 감안했다고 답하는 현실에서 이런 현상은 어느 정도 수긍이 간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드류 알트먼 재단 이사장은 "의료보험 때문에 결혼한다는 응답은 작은 숫자이기는 하지만 보험료를 어떻게 감당하느냐는 문제가 가정의 살림 뿐 아니라인생을 결정하는 데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충격적이다"고 말했다.
조사를 담당한 몰리언 브로디씨는 "(의료보험 때문에 결혼하는)그들에 대해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결혼하는 데 있어서 의료보험이 하나의 사유가 된다는 사실은놀랍기만 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