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정부가 도내 혁신도시로 이전할 예정인 한국토지공사와 경남으로 이전할 한국주택공사를 통합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이에 따른 정부의 보완대책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13일 공공기관의 '선 민영화 및 통폐합, 후 지방 이전' 방침을 확인하고 "토공과 주공이 통합되면 한쪽이 커지게 된다"며 "커진 쪽과 작아진 쪽에 대한 조정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는 노무현 정부 때 확정된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을 민영화 등을 통해 재배치 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돼 기존 혁신도시 추진 계획의 대폭적인 수정을 의미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노무현 정권 때 마련된 혁신도시로는 지역이 원하는 대로 갈 수 없다"며 "(혁신도시에) 어떤 공기업을 집중할 것인지, 인센티브를 어떻게 줄 것인지, 어떻게 많은 자율권을 부여할 것인지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 그같은 해석을 뒷받침했다.
그는 이어 "이전할 공기업 숫자가 문제가 아니다"며 "정부 자체안을 마련한 뒤 지자체와의 협의를 거쳐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주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해 이전할 공공기관에 대한 재조정 방침을 확인했다.
한편 공공기관 민영화 등을 지휘하고 있는 곽승준 청와대 국정기획수석은 12일 이와 관련 한 언론과의 대담에서 "지방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각 지자체도 두 손 들고 환영할 대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혀 혁신도시 공공기관 조정 대책을 마련중에 있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