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고법 전주부를 어떻게 만들었습니까. 도민들이 수십, 수백번 국회와 대법원의 문을 두드린 결과였습니다. 어렵사리 개원한 전주부가 불과 2년만에 흔들리고 있는 현실을 바라보고만 있을 수는 없는 것 아닙니까"
전주 고등재판부 증설을 위한 범도민 비상대책위(이하 전주고법비대위)의 대표발기인인 전북대 김승환 교수(55)와 김점동 변호사(53). 이들은 지난 95년 광주고법 전주부 신설의 단초가 됐던 전주고법유치추진위원회를 이끌었던 주역들이다.
김 교수와 김 변호사는 지난 2월이후 광주고법 전주재판부의 입지가 축소되자 결자해지(結者解之)의 심정으로 비상대책위를 꾸리게 됐다. 전주재판부의 위상을 되살리기 위해 '어제의 용사들이 다시 뭉친 셈'이 됐다.
"광주고법 전주부의 명칭이 광주고법 전주재판부로 바뀌면서 전북의 입장에선 '도단위기관'을 놓치게 됐습니다. 굳이 상대적 박탈감을 벗지 못하던 전북에 '사법기관'이 새로 들어섰다는 이유를 들먹이지 않아도, 고법 전주부는 도민들에게 애틋하고 대견한 존재입니다. 그런 전주부의 위상을 급작스럽게 축소시킨 대법원의 결정은 도민들을 우롱하고 외면한 처사와 다름없습니다"
김 변호사는 "전주고법비대위는 앞으로 전주부의 명칭을 원상회복하고 재판부가 증설될 때까지 총력투쟁에 나설 것"이라며 "상급 법원이라는 '골리앗'을 상대로 싸워야 하는 만큼 앞으로 험난하고 지루한 투쟁이 불가피하겠지만 그렇다고 중도포기하거나 좌절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김 교수도 "어느 누구도 장담할 수 없었던 고법지부를 만들었던 경험을 되살려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범도민운동을 마무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한결같이 "고법지부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체감했던 고통보다 전주재판부의 명칭을 환원시키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쉬울 것"이라며 "당분간 도민들의 역량을 결집시키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초심으로 돌아가겠다'는 이들의 다짐이 허투루 들리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