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전북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도내 서해안 해역의 6개 해수욕장(변산, 격포, 상록, 구시포, 동호, 선유도)과 2개 섬 지역(선유도, 연도)에 대해 지난 3∼4월 1차 오염도 조사를 한 결과 군산 연도에서만 유류성분과 총석유계 탄화수소(TPH)가 검출됐다.
연도의 경우 해안가 토양 8개 지점, 해수 3개 지점, 폐조개류 3개 지점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해 조사한 결과 해수에서만 유류성분과 TPH가 검출되지 않았을 뿐 나머지 시료에서는 모두 유류성분 등이 검출돼 오염 피해가 해소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건환경연구원은 여름철 수온을 감안해 예측 실험을 실시한 결과 수온이 25℃를 넘어설 경우 기름띠가 형성됐다고 밝혔다.
특히 연도의 해양가 토양에서는 평균 2800㎎/㎏이 검출돼 토양오염 우려 기준인 2000㎎/㎏을 크게 초과했으며 가장 심한 곳은 5795㎎/㎏이 나온 곳도 있어 조속한 방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PH는 경유, 등유, 윤활유 등에서 나오는 유류성분의 일종으로 동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주며 장기간 노출될 경우 인체에도 각종 만성장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연도가 태안과 가까워 오염 피해가 컸고 지형 조건으로 인해 기름 제거작업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유류 성분이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염 피해 최소화를 위한 철저한 제거작업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