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단체장들은 "경제적, 문화적으로 낙동강운하의 건설은 타당성이 높다고 판단되므로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위해 조기 건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환경단체 등은 "영남지역 주민이 안정적으로 식수를 제공받을 수 있는 권리를 빼앗는 것"이라고 맞섰다.
특히 운하건설 반대 단체들은 낙동강운하 건설이 영남권 `식수대란'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홍수피해 막기 위해서도 운하 필요" = 영남권 5개 시.도는 낙동강운하 건설과 관련 홍수피해 등 재난피해 복구비용과 다른 강에 비해 낙동강운하 건설의 용이성에 주목하고 있다.
대구시에 따르면 소방방재청 재난연보 등을 인용해 낙동강 유역 5개 시.도의 홍수 등 재난피해와 관련 복구비 등을 산출한 결과, 1997년부터 2006년까지 10년간 연평균 1조2천420억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10년간 12조4천여억원의 복구비가 투입된 것.
이는 낙동강운하 건설비로 거론되고 있는 5조~6조원의 배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영남권 광역단체장들이 이날 공동 대정부 건의문까지 만들어 낙동강운하의 조기 건설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선 것도 이 같은 만성적인 복구비 부담을 해소하기 위한 취지라는 설명이다.
앞서 김범일 대구시장은 지난 21일 경북도청에서 열린 대구.경북 업무보고에서 이명박 대통령에게 "홍수로 인한 피해 복구비가 엄청나다. 홍수기, 갈수기 이런 것이 말이 안된다"며 대운하 구간 중 낙동강운하를 먼저 건설해 달라고 요청했다.
◇"영남의 식수원..식수대란 막아야" = 이에 맞서 운하백지화 국민행동 등 운하건설 반대단체들은 우선 식수문제를 집중 거론했다.
운하백지화 국민행동 대구본부와 부산본부, 경남본부 등 영남권 5개 시.도 운하건설 반대단체들은 이날 오전 대구시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낙동강은 영남 주민 전체의 식수원"이라면서 "지하수 마저 점점 고갈이 심화하고 있는 등 안정적 식수원 확보가 당면 과제인 상황에서 낙동강운하 건설은 식수대란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들은 "정부의 치어리더가 된 영남권 시.도지사들은 지금이라도 즉각 낙동강운하 조기 추진 요구를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또 이들 단체는 "시.도민들에게 물어 봤느냐"며 충분한 사전 검토와 시.도민의 합의문제도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영남권 시.도지사들이 실체가 무엇인지 조차 불분명한 낙동강운하의 조기 추진을 일방적으로 천명한 것은 시.도민들의 의사를 완전히 무시한 처사"라면서 "지역 미래를 위해 그토록 중요한 낙동강 운하라면 충분한 검토와 토론을 통해 추진 여부가 결정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