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ㆍ오리 사육농가ㆍ업계 'AI 피해' 손배소

"근거없는 위험성 부각으로 피해"…정부ㆍ전문가 등 상대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엄청난 타격을 받고 있는 닭ㆍ오리 사육농가와 관련 업계가 정부와 일부 전문가 등을 상대로 피해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추진 중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한국가금산업발전협의회 문정진 사무총장은 23일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정부와 일부 학자들이 `AI 치사 가능성' 등을 함부로 언급해 수만 명이 종사하는 관련 산업을 위기로 몰아넣었다"며 "법적 소송을 통해 피해를 배상받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현재 관련 분야의 전문 변호사 여러 명을 선임해 법률 검토 작업에 들어갔다고 문 사무총장은 전했다.

 

그는 "2003년부터 AI가 발생 때마다 가금류 축산업, 외식업계 종사자들은 막대한 피해를 입어 왔다"며 "AI처럼 민감한 문제를 놓고 `아니면 말고 식' 발언으로 막대한 피해를 야기한 책임을 철저히 따져 묻겠다"고 말했다.

 

발전협의회는 특히 `AI 치사 가능성'을 언급한 일부 질병 관련 전문가들이 근무하는 직장 앞에서 500여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기로 했다.

 

발전협의회는 2003년 계육협회, 토종닭협회, 치킨외식협회, 계란유통협회 등이 주축이 돼 AI로 인한 피해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다.

 

양계협회와 오리협회도 이날 "가상 시나리오 등을 통해 `AI 위협론'을 확대 재생산한 정부, 일부 질병학자, 언론을 상대로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며 "승소 여부를떠나 소송 과정에서 산업을 망친 책임을 철저히 따져 묻겠다"고 말했다.

 

최근 전국 곳곳에서 발생한 AI로 인해 가금류 사육농가, 관련 가공업체, 외식업계의 매출이 급감하면서 줄도산 위기를 맞는 등 관련 산업 피해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