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워크숍에서 정형관 전북대 수의대 교수는 발제를 통해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된 AI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사후 수동적인 방역체계를 사전 적극적인 방역체계로 개선해야한다"라며 "특히 축산 농가의 방역수칙 준수를 위한 교육 및 방역시설 정기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또 정 교수는 "현실적 발생 양상을 감안한 포괄적인 AI 방역지침(SOP)으로의 개정과 효율적 초동방역을 위한 방역조직으로의 개편, 양계 사업장별 방역시설 기준안 마련 및 법적 제도화 등이 구체적으로 필요하다"고 지적한 뒤 사전 조기검색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기술개발투자를 강조했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또 대한의학협회 양기화 박사와 대한수의학회 박남용 회장(전남대)이 각각 인간 광우병과 소 광우병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북대 김진상 교수는 소브루셀라 퇴치 사업과 토양 및 지하수 오염 방지 사업 등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역할에 대해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