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초대내각의 인사실패를 교훈삼아 이른바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초대내각이 '강부자'(강남땅부자), '고소영'(고려대·소망교회·영남), 'S라인'(서울시청 출신) 등의 비판을 받으면서 '그들만의 정부'라는 지적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특히 개각을 앞두고 '도덕성·청렴성'을 최우선 인선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탕평원칙'도 중요한 판단의 잣대로 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도덕성 등에 다소 흠이 있더라도 '능력'이 있으면 과감히 발탁했던 반면 앞으로는 두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인물을 최대한 물색하되, 적임자가 없을 경우에는 도덕성에 좀 더 무게를 두지 않겠느냐는 관측이다. 정치인·관료 출신 중용을 점치는 시각이 우세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와 함께 새 정부 출범후 영남편중 인사라는 비판과 함께 호남·충청 홀대론이 끊임없이 제기돼온 만큼 차제에 이 지역 출신들을 대거 기용함으로써 국민적 화합을 이루고 내각의 기계적 형평성도 기하지 않겠느냐는 분석도 두드러진다. 호남정권인 김대중 정부도 경북 울진 출생의 김중권 비서실장 카드로 영남권 민심을 달랜 바 있다. 호남배려의 상징성을 강조하기 위해 공석중인 감사원장에 호남출신을 앉혀 개각때 함께 발표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보다 앞서 지난 9일 청와대 '왕비서관'으로 불리며 이명박 대통령을 측근 보좌하던 박영준 기획조정비서관이 전격 사의를 표명했다. 올초 대통령인수위 시절 류우익 대통령실장과 함께 청와대 참모진 및 내각 인선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면서 핵심측근으로 떠올랐던 박 비서관은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으로부터 '측근퇴진'이라는 직격탄을 맞고 날개를 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