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한나라당은 이날 첫 정례 당정협의회에서 대운하 등 국민적 공감대를 이뤘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과제들의 정책 추진 속도를 조절하고, 국민들의 피부에 와닿는 민생정책을 우선적인 추진과제로 삼는 방향으로 정책 우선순위를 재조정하기로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조윤선 당 대변인은 당정협의회 브리핑을 통해 "현재 국가 현안으로 되어있는 여러 가지 정책에 관해서 당정이 모여서 한번 정책의 운용 시기, 정책의 범위를 허심탄회하게 논의를 하고, 큰 선에서 결정을 한 번 하자라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밝혔다.
조 대변인은 또 "예를 들어 공기업 민영화라든지, 대운하 문제라든지 이런 현안문제에 관해서 너무 여러 가지 경로로 통일되지 않은 의견이 제시되는 것이 지금 국민의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당정이 국정 현안을 처리하는 우선 순위를 재편하는데 본격적으로 나서기로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선 정책 역량을 고유가, 쇠고기 파동 등을 계기로 이반하고 있는 민심을 달래고 민생을 안정시키는데 집중시키고, 한반도 대운하나 공공부문 개혁 등은 후순위 과제로 미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정책기조의 변화는 최근 홍준표 원내대표, 임태희 정책위의장 등 새 한나라당 원내지도부가 출범한 이후 지난 6일 세금환급을 골자로 하는 고유가대책을 내놓은데 이어 이날 통신비 인하, 대학등록금 부담완화 등 서민대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는데서도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