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날 통일부 대변인 명의의 성명에서 "남북 당국간 금강산지구 출입.체류합의서에 의하면 우리 측 인원의 신체 불가침을 보장하게 돼 있으며 만약 문제가 있다면 이를 중지시킨 후 조사절차를 밟아야 함에도 불구, 총격으로 사망하게 한 사실은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 "이번 사건은 북측 지역에 관광을 간 무고한 민간인 생명과 안전에 관련된 중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반드시 경위와 진상을 철저히 밝혀야 한다는 것이 우리 국민의 요구이자 정부 입장"이라고 분명히 했다.
성명은 "이번과 같은 불행한 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합의한 바에 따라 상호 협조 하에 반드시 진상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며 "북측은 우리 측의 진상 조사단을 받아들이고 재발방지 대책을 강구해 나가는 것이 책임있는 당국으로서 취해야할 마땅한 조치"라고 지적했다.
또 "이런 비극적 사건에 대해 엄정한 진상조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이는 남북대화에 의한 남북관계 발전을 기대하는 모든 이들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라며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북측의 책임있는 조치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북측 군은 아무런 무장도 하지 않았고 저항의사도 없는 것이 분명한 여성 관광객에게 총격을 가해 사망에 이르게 했다"며 "이는 누가 봐도 잘못된 조치로서 도저히 일어날 수 없고, 결코 일어나서는 안되는 일"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정부의 이번 성명은 북측이 전날 금강산사업 담당 기관인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의 대변인 담화를 통해 사건에 대한 책임이 남측에 있다면서 정부의 현장 조사 요구를 거부한데 대한 대응 차원에서 나왔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측 발표와 CCTV를 통해 파악된 피해자의 호텔 출발 시각 등에 근거, "북측 설명대로라면 호텔을 나선때부터 사망시까지 피해자의 총 이동시간이 20분인데, 이동 동선은 3.3km"면서 "50대 여성인데다 이동구간이 백사장이라는 점에서 북측 주장에 논리적 모순이 있다"면서 이번 사건 관련 의혹을 정부 차원에서 정식으로 제기했다.
정부는 이날 오후 1시30분 안보정책실무조정회의를 소집할 예정이며 오후 3시 홍양호 통일부 차관 주재로 정부 합동 대책반 회의를 개최한다.
정부는 앞서 전날 북측 담화가 나온 직후 통일부 장관이 주재한 부서내 대책회의에 이어 긴급 안보정책조정회의(장관급)를 개최, 후속 대응책을 논의했다.
한편 통일부는 윤만준 사장을 포함, 방북한 현대아산 관계자 일행이 12일 오후 금강산에서 약 1시간 동안 북측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 관계자 5명과 접촉을 가졌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