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나 모르는 문화이야기] (25)상식으로 알면 좋을 '명화이야기'

기도하는 농부 그린 밀레의 '만종' 은 죽은 자식앞에서 슬퍼하는 모습이었다

장 프랑수아 밀레(1814∼1875)의 '만종'만큼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은 그림은 흔치 않다. 부부가 감자 바구니를 가운데 두고 기도를 하고 있는 모습은 노동의 신성함과 경건함, 평화로움 등으로 설명돼 왔지만, 사실 슬픔과 연민의 정이 느껴지는 사연이 숨겨져 있다.

 

미술에 문외한이라도 명화(名畵)에 얽힌 이야기를 알면 감상의 재미가 더 커진다.

 

자크 루이 다비드作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 (desk@jjan.kr)

저녁 노을이 지는 들녘, 가난한 농부 부부가 기도를 하고 있다. 감자가 담겨있는 바구니는 원래 부부의 죽은 아기의 시체가 들어있었다. 미술대회에 출품하기 전 먼저 이 그림을 본 친구의 만류로 밀레는 감자를 덧칠해 그렸고, '만종'은 농촌의 평화로움을 담고있는 그림으로 유명해 졌다.

 

그러나 화가 살바도르 달리는 이 그림에서 '슬픔'과 '불안'을 느꼈고,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그에 관한 책을 쓰기까지 했다. 이같은 진실은 루브르미술관이 자외선 투사작업을 통해 감자 자루가 초벌그림에서는 어린아이의 관이었음을 입증하면서 밝혀졌다.

 

시라니 作 '베아트리체 첸치의 초상화'. (desk@jjan.kr)

'현대미술의 아버지'로 불리는 폴 세잔(1839∼1906)은 사과를 즐겨그렸다. 그러나 이 사과 작품들은 결국 오랜 친구와의 우정을 깨뜨리고 만다. 그 친구는 다름 아닌, 유명한 소설가 에밀 졸라. 소꿉친구였지만, 사회를 비판하는 소설들을 주로 썼던 졸라는 세잔에게 '밀레나 쿠르베처럼 가난한 농부들이나 노동자를 그려보라'고 충고했다.

 

평소 세잔의 그림이 못 마땅했던 졸라는 재능 없는 화가가 새로운 그림을 그리겠다는 망상에 빠져 결국 실패하고 만다는 내용의 '작품'이라는 소설을 내놓는다. 결국 세잔은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됐고, 둘의 사이는 매우 나빠지게 됐다.

 

자크 루이 다비드(1748∼1825)는 역사의 영웅을 위해 실제와 다른 그림들을 그렸다.

 

호리호리한 체격의 나폴레옹이 말을 타고 산을 넘는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은 나폴레옹의 대표적인 초상화. 그러나 실제 나폴레옹은 키도 작고 볼품이 없었으며, 산을 넘을 때 노새를 타고 있었다. '나폴레옹 대관식'에서도 다비드는 자식의 결혼을 반대해 대관식에 참여하지 않은 나폴레옹의 어머니 레티치아를 그림 속에 등장시켰다. 황제의 대관식에 모후가 참석하지 않는다면 황제에게 두고두고 누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클로드 모네(1840∼1926)의 '수련' 연작은 색감이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지만, 사실 수련을 그릴 당시 모네는 시력을 잃어가고 있었다. 르네상스 시대의 걸출한 화가 얀 반 아이크(1395?~1441)가 그린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에는 수수께기 같은 상징이 많다. 특히 화면에는 부부의 모습만이 보이지만, 벽에 붙어있는 거울 속에 부부 반대 쪽 환경을 그려넣었다.

 

귀도 레니(1575∼1642)가 그린 원작보다 제자인 엘리자베타 시라니(1638 ~ 1665)가 그린 그림이 더 유명한 '베아트리체 첸치의 초상화'는 '스탕달 신드롬'까지 만들어 냈다. 프랑스 작가 스탕달은 1817년 이탈리아 피렌체에 있는 산타크로체성당에서 레니의 '베아트리체 첸치'를 감상하고 나오던 중 무릎에 힘이 빠지는 증상을 경험했다. 심리학자들은 유명한 미술품을 감상하고 각종 분열증세를 느끼는 현상을 두고, 스탕달의 이름을 따 '스탕달 신드롬'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