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박물관이 마련한 '전주한옥마을 재발견' 특별전에서 유물이 공개돼 관심을 모았던 금재 최병심 선생(1874∼1957)의 유물관을 한옥마을에 건립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최병심은 간재 전우 선생의 수제자이자 전북을 대표하는 유학자. 간재의 뒤를 잇는 대표적인 제자중의 하나였던 그의 학문은 성균관 부관장으로 추대되기까지 할만큼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특히 일제 시대 항일운동에 앞장섰던 '행동하는 지식인'이었다. 조선총독부가 선생에게 옥류동 땅을 팔라며 토지수용령을 내렸으나 이를 거부하고 단식으로 항거, 22년간 법정투쟁으로 '한전 사건'을 불사했던 장본인이다. 독립운동 야사 「염재야록」 의 서문을 써주다가 임실경찰서에 구금되는 등 조국 독립을 위한 항일투쟁에 온 몸을 바친 공로자이기도 했다. 평생의 강학과 교육을 통해 길러낸 제자만도 300여명. 그 제자들은 지금도 전국 각지에서 유학과 전통문화의 진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덕분에 전주의 토박이 어른들 사이에서는 한벽루 부근에 살았던 최병심을 기억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의 삶과 학문적 자취가 담긴 공간는 없어졌다. 지난 1969년 한벽당∼국군묘지 간 도로공사, 1986년 기린로 공사로 인한 강제 철거령으로 그의 초당과 자택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그나마 남아있는 곳은 최선생의 제향을 드렸던 장소가 전부. 설상가상으로 5년 전부터 이곳에 일반인이 불법 입주해 강제 퇴거를 요구해야 하는 상황이다.
증손 최동호씨는 "소중한 문화유산이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무관심 속에 방치돼 있다"며 "어떻게 해 볼 형편은 안되고, 저렇게 스러지게 될까봐 늘 속만 탄다"고 안타까워했다.
이런 상황이 알려지면서 학계와 문화계의 전문가들은 최 선생의 수십 여권의 서첩과 14권의 문집, 영정 등 보관할 수 있는 유물관을 세워 한옥마을에 선비정신을 담아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조상 대대로 물려 받은 최 선생의 유물들을 보존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유물관을 건립해 최선생의 연구와 그 뜻을 새기는 작업들이 진행돼야 한국 유학과 선비정신의 마지막 불씨를 담았던 곳으로 의미를 되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학계는 "한옥마을의 옛 선비정신을 살리려면 역사의 주체이면서도 변두리로 밀려났던 최 선생의 삶이 재조명돼야 한다"며 서당이 복원되거나 유물관이 건립되면 한벽당∼전주향교∼강암서예관을 잇는 문향(聞香)의 띠가 생겨 한옥마을의 문화적 자산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