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서는 건설업계 부실이 심화되면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사태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 빚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7일 금융당국과 증권·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6월 말 기준으로 국내 채권형펀드나 부동산펀드 등의 펀드시장이 건설업계에 투자한 금액은 총 8조원 정도로 집계됐다.
국내 채권형펀드와 머니마켓펀드(MMF)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을 기초자산으로 한 유동화기업어음(ABCP)이나 자산유동화증권(ABS) 등에 투자했고, 일부 부동산펀드와 특별자산펀드는 건설사와 시행사의 유동화전문회사(SPC)에 투자, 사실상 대출을 해준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펀드가 투자한 자산 중에서 은행이 재매입 약정을 맺은 ABCP를 제외한 나머지는 건설사나 시행사의 자체 신용만으로 발행된 것이어서 부실이 심화되면 원금을 떼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건설업계에 투자된 전체 펀드 자산 중에서 ABCP가 절반에 못 미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 사태 악화시 원금을 떼일 우려가 있는 돈의 규모가 수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윤기 한국신용평가 실장은 "ABCP는 건설사가 부실해지면 최악의 경우 은행이 책임을 지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다른 투자 자산은 건설사 자체 보증으로 발행됐기 때문에 위험 노출도가 높다"고 지적했다.
특히 국내 건설경기의 회복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국내 건설업계 부실 위험이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보다 심각해질 수 있다는 비관론까지 제기되고 있어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자산운용사들도 금융권의 건설사 대출협의회(대주단 협의회)에 참여, 대출이나 채권 만기 연장에 동참하게 되는 최악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금융권 관계자는 "국내 건설업계와 금융권 대출 구조는 건설업계의 대출채권이 증권화돼 자본시장으로 흘러들어오는 식으로, 다른 나라에서 볼 수 없는 후진국형에 해당된다"며 "미국의 신용위기보다 더 심각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펀드시장 전문가들은 건설업계의 악재가 당장 펀드 손실로 직결되지 않을 것이라며 `위기론' 확산을 경계하고 있다.
이계웅 굿모닝신한증권 팀장은 "부동산펀드는 만기가 3~5년 이상으로 긴 데다 중도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이어서, 단시일내에 환매가 몰리는 일도 없을 것이며, 수익률도 만기에 확정되므로 지금 당장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국내 부동산펀드 수는 2006년 초 60개에서 지난 1일 현재 209개로 늘어났는데 순자산은 7조3천472억원으로 조사됐다. 이 중 PF 투자 펀드의 순자산이 4조원 수준으로 전체의 절반을 웃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