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오늘 오전 KBS 이사회의 제청을 받아들여 정 사장 해임 제청안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해임안을 서명하면서 "KBS도 이제 거듭나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변인은 "이번 일을 계기로 KBS가 심기일전해 방만한 경영 상태를 해소하고공영성을 회복, 국민의 방송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KBS 이사회는 13일 회의를 열어 후임 사장 선임문제를 본격 논의할 방침이다.
그러나 대통령이 KBS 사장을 해임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법적 논란이 있는데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이 정 사장 해임 강행시 이 대통령 탄핵 소추를 검토하겠다고 밝히는 등 극력 반발하고 있어 갈등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변인은 정 사장 후임과 관련, "KBS 이사회 쪽에서 논의하겠으나 각계 의견을 폭넓게 수렴, 적임 후보를 추천하면 검증을 거쳐 임명하는 절차로 진행될 것"이라며 "사장 공백 상태가 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달내 절차가 마무리 되도록 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차기 사장으로는 이 대통령 캠프 공보팀장을 지냈던 김인규 전 KBS 이사가 '대안부재론'을 타고 유력하게 거론돼 왔지만 최근 '코드 인사'라는 비판 여론이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강동순 방송위원회 상임위원, 이민희 전 KBS 미디어 사장, 이병순 KBS 비즈니스 사장, 김원용 이화여대 교수, 박찬숙 전 한나라당 의원, 안국정 SBS 부회장 등도 대안으로 함께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