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총장은 이날 오전 수원지검을 방문, 직원 훈시를 통해 이 같이 말하고 "정치에 개입한다는 오해를 받거나 정치적 중립성 훼손 등 불필요한 논란에 휩싸일 수 있기 때문에 지난 1년 선거기간에 사정활동을 벌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임 총장은 표적수사 논란과 관련해 "검찰권의 한계를 벗어난 수사는 차라리 하지 않느니만 못하다"면서 "과잉 표적 강압수사 논란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원래 혐의사실이 밝혀지지 않는다고 사소한 범죄까지 무리하게 수사해서는 안되고 압수수색과 계좌추적은 최소 범위 내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기업체의 정상적인 기업활동을 과도하게 위축시키는 일이 없도록 세심하게 주의하고 배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 총장은 정치적 중립성 논란과 관련해 "공권력 행사가 정치적 편향성과 당파성을 지니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며 "수사에서 독자성과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검찰 스스로 정치권력의 시녀라는 평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검찰의 의도와는 전혀 무관하게 정치적 논란에 휘말려 납득하기 어려운 비난을 받는 경우가 더러 있으나, 머지않아 극복되고 말 것"이라며 "검찰이 해야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정확하게 분별해내는 지혜를 찾아내자"고 말했다.
이와 함께 임 총장은 "다시 한번 마음 자세를 가다듬고 고위 공직자 비리와 지역 토착비리의 척결에 검찰의 모든 역량을 기울여야 할 때"라며 "부정부패 척결에 검찰의 모든 역량을 집중시켜 달라"고 부패 척결을 강도 높게 주문했다.
임 총장은 "절제와 품격높은 수사를 하되 부정부패 척결은 지속적으로, 또 강도높게 추구해 나가야 하는 검찰의 목표"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