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 농공-토공, 새만금·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자 물밑경쟁

농공 "사업 일관성·경제성 우위"...토공 "산업용지 조성 전문기관"

새만금·군산 경제자유구역 산업단지 개발사업 시행자 선정을 위한 농촌공사와 토지공사간의 물밑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농촌공사는 '사업진행의 일관성과 경제성'을, 토지공사는 '산업용지 조성 전문기관' 등의 장점을 내세우며 자신들이 사업시행의 적임자임을 적극 부각시키고 있다.

 

농촌공사측은 사업의 조기 추진을 위해서는 그동안 새만금 사업을 추진해 왔던 '농촌공사가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업 시행자가 새롭게 바뀌게 되면 권리의 양도·양수를 비롯해 환경영향평가 등의 새로운 절차를 밟아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연장된다는 것이다.

 

또한 만약에 토공이 사업 시행자로 선정되면 2개의 공공기관이 새만금 지역내에서 사업을 진행하는 상황이 벌어져 자칫 2개 공사간 충돌이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농촌공사 관계자는 "농촌공사는 농공단지를 조성할 때 설계와 감리를 모두 맡는 등 충분한 사업능력을 갖추고 있어 합리적 공정계획 수립과 업무의 일관성에 따른 사업기간 단축 등의 많은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토공측은 "산업단지 조성기술은 물론 해수면 매립사업도 수행한 경험이 있는 등 사업시행 실적 및 능력 면에서 한발 앞서 있다"며 당위성을 강조했다.

 

이미 토공내에는 외국인 투자유치팀이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는데다, 현재 인천을 비롯한 4개 경제자유구역에서 11개 사업지구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산업단지 조성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는 것.

 

특히 토공측은 공기업은 각자의 기능과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토공 관계자는 "공기업은 각자의 설립목적과 역할이 나눠져 있는데, 농촌공사가 토공의 기본영역인 산업단지 조성사업을 맡게 되는 것은 공기업 설립목적과는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도는 최근 △외국인 투자유치 능력 △자산·부채 등 재무 건전성 △산업단지 조성 및 해수면 매립 등 유사사업 시행실적 △사업기간 단축방안 적정성 △사업비 절감방안 △임대단지 조성 및 사후관리 계획 △지역경제 기여도 등의 7개항을 시행자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으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