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추경안 처리 무산에 '허탈'

한 지도부에 불만..홍준표 사퇴엔 부정적 의견 우세

청와대는 12일 추가경정예산안 처리가 무산된 데 대해 허탈해 하는 분위기다.

 

경제악화로 점점 가중되고 있는 민생고를 조금이라도 덜어주기 위해서는 추경안을 최대한 빨리 통과시켜야 한다는 게 청와대 입장이지만 여야간 논란 끝에 추석 전처리가 끝내 무산되자 난감해 하고 있는 것.

 

여기에는 물론 전기.가스요금 인상 최소화 등과 직결된 추경안을 추석 전에 처리함으로써 이반된 민심을 조금이나마 되돌려 보겠다는 나름의 계획이 차질을 빚게 된데 대한 아쉬움도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은 앞서 지난 5일 한승수 총리가 대독한 추경안 국회제출에 즈음한 시정연설을 통해 "이번 추경안은 고유가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많은 국민의 생활을 조속히 안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적정 소요를 반영해 국회에 제출했다"며 조속한처리를 당부한 바 있다.

 

청와대 한 참모는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추경안이 추석 전에 반드시 처리됐어야 하는데 아쉽다"면서 "추경안이 제때 처리되지 않으면 전기와 가스요금의 추가인상이 불가피해 서민고통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참모도 "추경안은 여야가 이미 처리키로 합의했던 사항으로 알고 있다"면서 "정치적으로 접근하지 말고 고통받는 서민을 위해 최대한 빨리 처리해야 한다"고강조했다.

 

청와대는 집권 여당인 한나라당의 `실수'로 추경안이 처리되지 못한데 대해서는공식적인 반응을 자제하면서도 속으로는 부글부글 끓는 기류가 역력하다. 당이 국정을 제대로 뒷받침 못해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김형오 국회의장이 직권상정을 거부한 데 대한 불만도 표출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의결 정족수가 확보됐는지 조차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추경안 처리를 시도한 것은 아무리 봐도 말이 안 된다. 172석의 거대 여당이 어떻게 이런 `헛발질'을 하느냐"면서 "여당 출신인 김 의장도 너무 본인의 스타일, 본인의 정치만 생각하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홍준표 원내대표가 추경안 처리 무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데 대해선 부정적 기류가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 관계자는 "홍 원내대표 혼자 만의 책임은 아닌 것 같다"면서 "특히 정기국회 국면에서 원내 수장을 교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본다"고 말했고, 다른 관계자도 "빨리 내부 전열을 정비해 안정을 되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일각에선 "차제에 원내지도부 교체를 고려해 봐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어 향후 논의결과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