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식품클러스터 전략이 없다

기본계획안 용역, 비전·목표만 거창… 국비 부담·사업규모 기대 이하

전북에 추진중인 국가식품클러스터가 비전과 목표만 거창할 뿐 이를 뒷받침할 내용이 부실해 전면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식품클러스터를 견인할 핵심기능의 사업과 기관 설립이 기대 이하로 평가됐다.

 

산업연구원 등 4개 용역기관이 마련해 지난 19일 김완주 전북도지사에게 국가식품클러스터 기본계획(안)을 보고한 자리에서 김 지사와 전문가들은 당초 전북도가 기대한 만큼의 큰 그림이 그려지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기본계획에서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3단계로 나눠 식품전문단지 조성비 3500억원을 포함 18개 사업에 총 6156억원(국비 1652억, 지방비 946억, 민자 3558억)원을 투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동북아 식품시장의 허브를 비전으로 제시하면서도 막상 그 비전을 달성할 세부전략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김완주 도지사는 국내 농업과 연계한 가공 유통과, 새만금과 연계해 해외 원료를 가져다 가공해 동북아 시장을 공략하는 투트랙 방법이 추진돼야 함에도 가공무역 부문이 빠진 점을 지적했다.

 

또 국가식품클러스터가 농업구조를 바꾸고 농업의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지렛대가 돼야 함에도 핵심사업이 너무 약하고 규모도 작아 전체적으로 작은 시각에서 그려진 것 아니냐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경옥 행정부지사는 "계획안에서 제시된 11대 전략이 일반론에 그치며, 선도사업이 눈에 띄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부지사는 새로운 사업을 발굴해 20개 사업 이상으로 하고, 사업 규모를 1조원대 이상으로, 식품전문단지를 1000만㎡ 규로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식품클러스터가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특별법 제정을 과제로 포함시켜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문도 강하게 제시됐다.

 

식품클러스터 자문단에서는 전북도가 보유한 장점이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으며, 분야를 압축시킨 외자유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 전처리 시설의 필요성과 함께 벤처기업의 활성화 방안이 미흡한 점이 지적됐다. 또 식품산업은 단기적이며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함에도 계획안에서는 그렇지 못하며, 국비 부담이 너무 적다고 비판했다.

 

기본계획안 보고회에 참석한 한 전문가는 "전체적으로 구색을 맞춘 것 같지만 실제 내용을 들여다보면 농림식품부와 4대 용역기관이 그린 밑그림이 겨우 이정도냐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며, 기본계획 수립 일정을 늦춰서라도 제대로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