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발전연구원(전발연) 박형창(46) 연구위원은 25일부터 3일간 군산리버힐관광호텔에서 열리는 한국항만경제학회 학술대회에 앞서 미리 배포한 논문에서 "새만금신항을 식품원료의 조달과 가공, 생산을 집적화 한 '식품전용항'으로 조기 개발해야한다"고 밝혔다.
박 연구위원은 "전북도가 국가식품클러스터로 지정된 만큼 새만금 신항을 통한 식품원료의 조달과 보관, 비축, 가공, 생산, 유통 기능이 용이하다"면서 "이 같은 이유로 대규모 식품무역가공단지를 바탕으로 한 식품항만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새만금 신항만은 서해안 등 기존 항만의 물동량을 분배해서 처리하는 항만이 아니라, 신규 물동량을 창출할 것"이라면서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라 물동량이 대폭 증가하기 때문에 중국 물동량에 대응하는 항만으로 발전할 것"이라고말했다.
새만금은 수심이 20-25m로 특히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맞춰 우리나라 서해안에유일하게 대형항만을 건설할 수 있는 적지로 평가받고 있다는 그는 설명했다.
박 위원은 "우리나라의 식품원료 수출입양의 약 20-40%를 새만금 신항에서 처리한다면 2015년 10선석, 2020년 12선석 규모의 신규 물동량이 창출될 수 있다"면서 "단계적으로는 컨테이너 부두와 크루즈 부두 등을 건설해 다기능 복합항만으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항만경제학회가 주최하는 이번 학술세미나는 한국을 비롯한 미국, 일본, 영국 등 국내외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1세기 물류선진국 도약을 위한 새만금신항 및 배후단지 개발'을 주제로 오는 27일까지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