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제1차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모든 국민의 초미의 관심사인 대학입시가 공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보다 크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국민들 사이에서 학교의 자율이 증가되면 앞으로 교육의 질이 더욱 높아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걱정하는 분들이 있다"며 "교육자율화를 통해 교육의 질이 높아지는 교육의 선순환 구조가 이뤄질 수 있도록 시도 교육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대학교육과 초.중등교육이 함께 발전하는 선진적 대학입시방안을 잘 준비해 마련해 줄 것을 자문위원과 대학, 시도 교육감들에게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자문위원들로부터 `국가교육과학기술정책의 비전과 전략'에 대한 보고를 받은 뒤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현장의 적합도를 제고해 국민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교육과 과학 두가지만 해결되면 모든 게 해결된다"면서 "과거에 여러 자문기구가 형식에 치우쳤는데 이번 정권에서는 실용적인 제안을 많이 해서 정책집행에 도움이 되는 회의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이날 자문위원으로 위촉된 박범훈 중앙대 총장은 "현 정부의 정책에 대한 일반국민의 인식은 경쟁 위주로만 오해되고 있다"면서 "국민과의 소통 강화와 생활공감형 정책을 통해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허숙 위원과 주복남 위원은 "교원들의 사기를 높여 이들이 교육개혁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건의했으며, 오세정 위원은 "우리나라도 노벨과학자를 양산하기 위해 기초과학에 대한 꾸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