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저축은행 '수술대'

인수합병·BIS비율 높이기·경영비 절감

부동산경기 침체에 직격탄을 맞아 건전성이 나빠지는 저축은행들이 본격적으로 수술대에 오른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저축은행들에 인수·합병(M&A)이나 증자 등 자구책 마련을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이와 동시에 금융시장 불안의 뇌관인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채권을 인수하거나 저축은행들이 펀드를 조성해 PF 사업장을 자체 지원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서민금융기관인 저축은행이 부실에 빠지면 그 피해가 서민경제로 확산하고 금융시장과 경제 전반의 불안을 더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관련, 도내 저축은행들도 인수·합병과 BIS비율(부실채권대비 자기자본비율) 높이기에 나서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고려저축은행이 부산저축은행과의 합병으로 건전성 확보에 나섰고 전일저축은행은 지속적으로 BIS 높이기에 주력하고 있다.

 

또 자발적인 경영비 절감을 위해 렌트차량 줄이기, 직원 급여 삭감 및 동결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저축은행들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그동안 경쟁적으로 취급했던 PF 대출이다.

 

지난 6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PF 대출 잔액은 12조2천억 원으로 전체 대출의 4분의 1이나 차지한다. 부동산경기가 가라앉으면서 건설사로부터 대출금을 제대로 회수하지 못해 연체율이 14.3%로 은행권 PF 대출 연체율의 21배에 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금융당국은 현재 저축은행의 899개 PF 사업장에 대한 실태 조사 결과를 분석 중으로, 이달 안에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PF 사업장을 정상, 부실 우려, 부실 등 3~4개로 분류해 맞춤형 처방을 할 계획이다.

 

현재 검토하고 있는 방안은 자산관리공사(캠코)를 통해 저축은행의 부실 PF 채권을 인수하는 것이다. 이 채권을 싸게 인수해 저축은행의 동반 부실을 완충하고 나중에 부동산경기가 살아나면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저축은행업계 역시 당장 손실은 볼 수 있지만 자산 건전화를 위해 이런 방안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저축은행들에 대한 이런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뼈를 깎는 자구 노력이 동반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106개 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평균 9.1%로, 8%를 밑도는 곳은 20여 개다. 정부는 최근 4개 저축은행의 M&A를 승인한 데 이어 다른 4곳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경영개선 계획의 마련을 권고하고 있다.

 

정부는 저축은행이 쓰러지면 예금자 보호를 위해 공적자금을 넣어야 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M&A를 통한 대형화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증자를 하고 배당을 억제해 자기자본을 확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