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뜩이나 어려운 경제 속에서 4천여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군산공장이 조업을 중단함에 따라 지역경제가 '직격탄'을 피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군산시는 이날 군산공장이 조업을 중단하자 '드디어 올 것이 왔다'라는 분위기속에서 대응책 마련에 부심했다.
보름 전 군산공장으로부터 사전통보를 받아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막상 GM대우차가 문을 닫자 앞으로 발생할 '후폭풍'에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23개에 달하는 1차 협력업체도 줄줄이 문을 닫게 됐는데, 이 불똥이 또다시 수십여개에 이르는 2.3차 협력업체로 튈 경우 사태는 걷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군산시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더욱이 군산지역 수출의 70%를 차지하며 버팀목 역할을 해온 군산공장의 휴업으로 직원들의 수입이 줄면 소룡동을 비롯한 군산지역 슈퍼와 마트, 식당, 목욕탕 등 소점포의 막대한 타격이 예상된다.
군산시 관계자는 "1.2차 협력업체도 문제지만 지역 소규모 점포 등 밑바닥 경제가 완전히 얼어붙을 것"이라면서 "한 달 전만 해도 군산 이마트에 오후가 되면 대우차 작업복을 입은 사람들이 눈에 많이 띄었는데 최근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
군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군산지역 경제에서 GM대우차 공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하청업체를 포함해 전반적인 경기가 더욱 위축될 것은 당연하다"며 "협력업체의 경우 힘들게 조업을 이어가는 곳도 있겠지만 대다수가 GM대우차 공장과 함께 생산을 멈추게 될 것"이라며 후유증을 우려했다.
이에 대해 GM대우차 군산공장 관계자는 "관리직은 연월차 휴가를 쓰고 현장 근로자는 노동부 고용유지부담금으로 임금의 70%를 받게 된다"면서 "실제 조업중단 일수는 8일밖에 되지 않고 생산량 조절 차원에서 잠시 멈추는 것일 뿐 회사가 극도로 어려운 상황에 처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