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병원협회에 따르면 지난 1월 복지부와 협의한 병원감염관리기준을 시행한 뒤 이행여부를 합동점검해 지난 10월 제도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돼 있었다.
하지만 기준안의 내용이 상식선에 그치고 구체성이 떨어지는 선언적인 내용으로 이뤄졌으며, 자율성에 기초한 만큼 중소형 병원은 상대적으로 감염관리에 소홀할 수 밖에 없다는 게 병원 관계자의 의견이다.
기준안은 10개항으로 '의료기관은 감염관리를 담당할 조직과 인력을 두고 규모와 특성에 적합한 감염관리프로그램을 운영한다'·'침습적 처치를 행할 경우 필요한 개인보호구 착용과 무균술을 준수한다'·'인체에 사용하는 의료기구나 물품은 적절한 소독과 멸균을 시행한다' 등의 내용으로 이뤄졌다.
30일 입원실을 운영하는 전주시 중화산동·금암동 등의 병원 중 일부는 감염관리에 대한 개념조차 부족했다. 한 병원의 직원은 "감염관리기준안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며 병실을 드나들 때도 간단한 처치는 손세척을 따로 하지 않고 있다"며 "환자에게 이뤄지는 처치는 최대한 위생적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병원협회 관계자는 "복지부에서 실태조사를 마쳤지만 지침이 내려오지 않아 제도화 여부는 아직 알 수 없다"면서 "특별한 지침이 없는한 각 의료기관에서 자율적으로 준수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