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시 8회 출신으로 옛 경제기획원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한 그는 1982년 부처간 교류 때 옛 상공부 미주통상과장으로 자리를 옮긴 뒤 상공부와 통산산업부의 주요 요직을 두루 거쳤다. 국민의 정부에서 초대 통상교섭본부장에 취임한 뒤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 청와대 정책기획경제수석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 또 한미FTA(자유무역협정) 체결지원위 위원장과 국무총리를 역임하면서 한미FTA 협상의 타결을 이끌어내 기반을 다지는 등 '한미 FTA의 전도사역'을 자임했었다.
한 내정자의 발탁 배경에는 이같은'한미FTA 전도사'와 무관하지 않다는 게 청와대측의 설명이다. 청와대측은 한 전 총리를 이미 2주 전에 주미 대사에 내정됐으며, 앞선 정권에서 FTA 협상을 주도했고 경제 관료로서 지내온 관록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4대 권력기관이 TK(대구·경북) 인사 중심으로 개편된 점에 전주 출신인 한 전 총리을 중용을 통해 '탕평인사' 측면에서 배려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 대통령은 이처럼 전 정권 인사라 할지라도 정치적 색깔이 엷은 '테크노크라트(technocrat)'에 대해선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전 총리는 지난해말 이 대통령이 국가 원로들을 초청, 경제위기타개를 위한 조언을 듣는 자리에서 현정부의 위기 대처 방식에 대해 상당히 높게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