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김 내정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 요청안을 이날 국회에 제출하지 않을 방침이다.
원세훈 국가정보원장 내정자의 인사청문 요청안 제출도 후임 행정안전부 장관이 임명되지 않은 사정을 감안, 뒤로 늦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공석중인 행안부 장관과 국세청장 후임자의 경우 인선 작업이 지연되면서 구정연휴 이후 최종 확정한 뒤 발표키로 했으며, 행안부 장관은 한나라당 의원 입각에대비해 관련 인사 자료를 집중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인사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김 내정자의 거취는 용산 사고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 뒤에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며 "조사 결과 김 내정자에 귀책 사유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한해 조치가 있을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 같은 입장은 추후 여론의 향배를 지켜봐야 할 필요성과 함께 공적인 판단에따른 결정 사항에 대해 일일이 책임을 묻게 되면 공직사회내 보신주의 팽배 등의 후유증을 가져올 수 있다는 인식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다른 관계자는 "김 내정자 사퇴 여부에 대해선 고려할 점들이 있다"면서"사퇴가 오늘중 이뤄질 것 같지는 않으나 아직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며 분위기를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연휴 이후 사퇴 여부에 대해서는 "진상 규명 결과가 나와야 최종결정을 할 수 있는 문제"라며 더 이상의 언급을 피했으나 청와대 내부적으로는 구정연휴 이후 적절한 시점에 사퇴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