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관계자는 "용산대책위에서 농성자금으로 마련한 6천만원에 대한 계좌추적을 벌이고 있지만, 현재까지 전철연이나 남경남 의장에게 넘어간 흔적을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그동안 용산대책위 이충연 위원장과 간부들이 농성자금으로 각 1천만원을 갹출해 조성한 6천만원이 대부분 사용된 사실을 확인하고 그 용처를 추적해 왔으나 생필품과 시너 등 시위용품 구입과 망루를 설치 비용으로 사용된 것 외에 다른쓰임새는 발견하지 못했다.
검찰은 그러나 6천만원 중 5천만원 이상이 10만원 권 수표로 인출된 정황을 잡고 이들 수표의 흐름도 계속해서 추적하고 있다.
검찰은 이 계좌 외에 용산대책위가 관리해 온 3천만원이 든 계좌도 발견했으나철거민들이 평소에 모은 돈으로 대부분 사용되지 않은 점을 감안해 이번 농성과는별다른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검찰은 또 남 의장과 이 위원장의 통화내역 조회 결과 특이점을 발견치 못했고,이들이 사용한 `대포폰'이 있는지 계속 확인 중이다.
화재 원인 및 경찰의 과잉 진압 의혹과 관련해 검찰은 지난 29일까지 현장에 투입됐던 모든 특공대원에 대한 1차례 조사를 마쳤으며, 30일 옥상 망루에 투입된 특공대원과 대대장 및 일부 간부들에 대해 다시 조사키로 했다.
검찰은 내달 5~6일께 수사 결과 발표를 앞두고 농성자들을 중심으로 기소 대상자를 선별하는 작업에 착수했으며, 여기에는 이번 사건으로 불거진 고발 사건에 대한 결과도 포함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