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숭례문 화재가 발생한 직후인 작년 3월 문화재 전담 경비인력으로 86명을 채용해 흥인지문, 문묘 등 22개 문화재에 한 곳당 3~9명을 배치해 3교대로 24시간 근무하도록 했다.
숭례문 화재 이전에도 55명의 문화재 관리 인력이 있었지만 24시간 상주체제는 아니었다.
시는 올해 14명을 추가로 뽑아 총 100명의 경비인력을 최규하가옥 등 2곳을 추가한 24개 문화재에 배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보신각, 남산골 한옥마을 등 문화재 97개소에 CC(폐쇄회로) TV와 적외선 감지기, 자동경보 소화기, 연기감지기 등 방범ㆍ방재시설을 설치했으며 올해는 56곳에 추가로 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또 유사시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흥인지문 등 문화재 11개소에 대한 재난대비용 설계도면을 제작해 관리단체와 자치구, 소방서에 비치했다.
시는 올해는 50곳의 설계도면을 추가로 제작할 계획이다.
시는 아울러 화재에 취약한 목조문화재에 방염제를 입히는 사업을 흥인지문, 사직단 정문, 대원각사비 등 58곳에서 시행할 예정이다.
시는 지난해 문화재 안전관리예산을 1억800만원으로 편성했다가 41억5천200만원으로 재편성했으며 올해 관련 예산을 61억5천600만원으로 증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