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평균 30%대 중반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청와대가 취임 첫해 `광우병 파동'으로 촉발된 총체적 국정난맥상에서 벗어나 국정운영의 한 축으로서 안정감을 보이고 있다는 안팎의 평가에 따른 것이다.
특히 이 대통령의 경제 관련 구상이 국제무대에서 하나둘씩 통하는 것 아니냐는관측이 제기되면서 참모들 사이에선 고무된 분위기도 감지된다.
청와대는 우선 15일 새벽 종료된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결과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경기회복을 위해 전 세계가 함께 재정지출을 확대하고 보호무역주의를 배격해나기로 한 합의내용이 일정부분 이 대통령의 제안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른바 국제무대에서 이 대통령의 구상이 어느 정도 통하고 있다는 게청와대측의 분석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워싱턴 G20 금융정상회의 때 세계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경향에 우려를 표명하면서 무역.투자와 관련한 새로운 장벽을 더 만들지 않는 `동결(Stand-Still) 선언'을 처음으로 제안한 바 있다.
또 재정확대 문제와 관련해선 지난달 23일 서울에서 열린 `글로벌 코리아 2009'국제회의에서 "실물경제 위축과 대량 실업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동시에재정을 확대하는 `글로벌 딜'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공개 제안했고, 4월 런던 G20회의에서 이 문제를 공론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우리나라의 금융안정화포럼(FSF) 가입과 관련해서도 이 대통령 역할론을 강조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16일 "FSF 가입까지는 이 대통령의 외교적 노력이 있었다"면서"작년 11월 G20 금융정상회의 및 남미순방 당시 미국, 일본, 호주, 싱가포르 등 기존 FSF 가입국 정상들과 가진 양자회담에서 우리나라의 FSF 가입을 위한 지지와 협조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밖에 청와대는 이 대통령의 자유무역 의지를 소개한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의 최근 보도를 거론하면서 해외 언론의 한국보도에 의미있는 변화가 있고, 그 과정에서 청와대 및 정부가 보이지 않는 노력을 했다고 자평하고 있다.
즉, 무조건 `한국 때리기'로 일관하던 해외 언론들이 정부의 끈질긴 설명과 설득 덕분에 일부 객관적인 보도, 긍정적인 보도도 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실제 청와대와 정부는 지난 1월 `한국 제대로 알리기' 6개월 플랜을 짰고, 이계획에 따라 정부 고위급 관계자들이 직접 해외 언론 및 경제전문가들을 찾아다니며한국의 실상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청와대의 이런 분석에 문제가 없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국제무대에서의 이 대통령 역할론이나 해외언론 보도 경향에 판단은 다소 성급할 뿐 아니라 지나치게 우리측 시각만을 반영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