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문에 수공 측이 추진중인 '충청권 광역상수도 공급사업'의 키를 쥐고도 제 몫을 챙기기는 커녕, 불필요한 행정력만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팽팽한 줄다리기만 되풀이되는 용담댐 관련 협의는 진안군이 용담댐 건설로 생긴 간접피해를 다소나마 보상받자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이에 따라 군은 수공 측에 △고사분수대 이전비용 및 운영주체 변경 △용담댐 간접보상지역 농경지 임대 △용담호 상류 수심유지사업 △용담호 카누전지 훈련장 조성 등 6개 항을 줄기차게 요구해 왔다.
하지만 최근에 추가된 '용담·부귀·정천지역 광역상수도 공급'건만 긍정적으로 검토될 뿐 나머지 5개 특별 요구사항 대부분은 아직도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일부 조건부 수락만 받아놓은 상황.
고립지 도로개설의 경우 군은 일부 도로개설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130억원의 사업비를 요구했으나 수공 측은 현실적인 재원지원은 곤란하다면서도 사업비를 줄이는 조건이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용담호 카누전지 훈련장 조성사업도 용담호를 상수원보호구역으로 묶을려는 의도가 엿보이는 전북도가 수질오염을 들어 불가입장을 견지하면서 터덕거리고 있다.
용담호상류 수심유지사업 역시 그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정작, '사업 타당성을 검토한 뒤 다시 협의를 벌이자'는 수공 측 입장에 막혀 현지 시료채취 및 적성검사도 차일피일 미뤄진 상태다.
특히 계륵이 된 고사분수대 이전 및 운영주체 변경과 관련, 수공 측은 10억원이 넘는 운영비를 들어 사업 타당성 확보가 곤란하다는 불가입장을 견지해 오면서 사실상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