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청와대 재직 시절이 아니라 그 이전 또는 이후에 벌어진 사건이라 청와대와 직접 관련은 없지만 한때 청와대에 몸담았던 인사들이 연루된 것 자체만으로 일정부분 도덕성에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다는 현실적 판단에서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그간 기회 있을 때마다 "대선과정에서 기업인들로부터 돈한푼 받지 않고 깨끗한 선거를 치렀다"고 강조하면서 부정.부패 척결의지를 역설해왔다는 점에서 전직 참모진들의 `부적절 행위'는 청와대 내부에서도 의외라는 반응이다.
청와대는 추부길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이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으로부터 억대의 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사건과 박병원 전 경제수석이 우리금융지주 회장 재직시절 컨설팅용역업체를 부당하게 선정하고 한미캐피탈을 비싼 값에 인수했다는 감사원 감사결과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또 현 정부 초대 민정수석인 이종찬 전 수석의 박 회장 구명 로비 연루 의혹 등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확인된 게 없지 않느냐"는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사안 자체가 워낙 민감할 뿐 아니라 섣부른 언급이 자칫 불필요한 정치적 오해를 낳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전직 참모들 관련 사건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은 없다"면서 "추 전 비서관의 금품수수는 청와대 퇴직 이후에, 박전 수석 사건은 청와대에 들어오기 이전에 각각 발생한 사건"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다만 "두 사건 모두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았을 것"이라며 안타까워했다.
다른 관계자는 "현재 수사가 진행중인 사건에 대해 뭐라 언급하기 어렵다"면서도 "검찰의 수사가 철저하게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청와대의 이미지에도 일정부분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우려했다.
이런 가운데 여권 일각에선 박 전 수석 문제와 관련, 청와대가 사전 검증에 소홀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논란이 불거질 수 있는 사안을 철저하게검증하지 못해 결국 `화'를 자초한 것 아니냐는 비판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