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방위, KBS '정책 버라이어티쇼' 논란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의 22일 전체회의에서는 KBS가 방송예정인 `정책 버라이어티쇼'를 놓고 정부의 방송 편성권 침해 논란이 벌어졌다.

 

KBS는 오는 25일부터 국민이 의견을 제안하면 패널들이 실현 가능성을 점검하고, 정부 정책에 신속히 반영하는 내용의 `5천만의 아이디어'를 방영할 예정이다.

 

 

이를 놓고 한나라당은 다양한 여론을 수렴한다는 차원에서 문제될 게 없다고 한 반면, 민주당은 사전에 정부가 편성권에 개입해 프로그램을 계획한 일방적 정책홍보 프로그램이라고 폐지를 촉구했다.

 

한나라당 정병국 의원은 "정책홍보를 하는 게 아니고 국민의 정책 아이디어를 얻어 정책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지 보는 것"이라며 "이를 두고 `해라. 말아라' 하는 게 오히려 편성권의 침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는 정책을 수렴하는 창구가 될 수 있고, 국민과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되겠다고 해서 후원을 한 것"이라며 "문화부는 정치적 이해관계를 따져보고 정책 일방적 홍보를 위한 개입이 아니기 때문에 지원을 결정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 전병헌 의원은 "문화부가 (지난 2월) 제작한 프로그램의 시나리오와 KBS가 제작한 것과 너무나 똑같다"며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도 관제 홍보의 냄새가 나면 국민으로부터 인정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KBS 스스로 포기하는 게 맞다"고 촉구했다.

 

서갑원 의원도 "정부 정책을 홍보하라고 KTV를 만들었는데 거기서도 충분히 홍보를 할 수 있다"며 "정부 예산을 갖고 프로그램을 지원해주는 것을 국민이 납득하겠느냐"고 따졌다.

 

이에 대해 유인촌 장관은 "KBS는 정책 홍보라기보다는 국민에게 건전한 아이디어를 제출하는 버라이어티 쇼라고 판단했던 것"이라며 "편성권 침해가 아니라 방송국이 의지를 갖고 하는 것이라고 들었다"고 답했다.

 

유 장관은 "방송사가 필요하다면 계속 지원할 것이며, 정부가 협찬하는 것은 방송뿐만 아니라 신문 등에도 많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