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운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 편찬실장은 21일 남북평화재단이 '북녘말, 남녘말, 아름다운 우리말'이라는 주제로 서울 대학로 함춘회관에서 개최한 강연회에서 남북간 언어 이질화는 사실은 낱말의 차이이기 때문에 남북교류만 이뤄지면 쉽게 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반도 전체를 크게 동서와 남북으로 구분했을 때 서쪽에 있는 평양 사람들이 6개월만 서울에 와서 표준말을 학습하면 서울말을 바로 쓰지만 동쪽 사람들은 아무리 학습해도 잘 못 쓴다"며 동쪽 사람들은 모음 'ㅓ'와 'ㅡ'를 듣거나 말할 때 구분하지 못해 가령 '성숙/승숙'을 구분할 수 없으나, 남북 사이엔 예컨대 '낙지'와 '오징어'가 서로 바뀌어 쓰이지만 바뀌어 쓰인다는 것을 기억하기만 하면 소통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남북간 언어의 차이는 학습할 수 있는 낱말의 차이일 뿐인데 이질화라고 할 수 있느냐"고 그는 반문하고 "보통 이질화란 문법이 달라져 있을 때, 가령 어순을 다르게 쓴다든지 하는 것인데 북측도 우리와 똑같이 써 그렇게 문제가 안된다"고 말했다.
"다만 걱정해야 할 것은 '소행'이 남한에선 부정적으로, 북한에선 긍정적으로 쓰이고 '신사'라는 말은 남한에선 긍정적으로, 북한에선 부정적으로 쓰이는 것처럼 남북 사이에 60년간 교류가 없이 떨어져 있다 보니 자연 발생적인 차이가 생긴 것"이라고 한 실장은 지적했다.
또 새로 태어난 단어가 많을수록 소통이 돼야 하고 서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 제일 필요한 것이 남북 교류라고 그는 덧붙였다.
2005년부터 진행중인 남북간 겨레말큰사전 편찬사업과 관련, 그는 "우리는 사전 올림말에 약 50만개, 북한은 33만개가 있는데 겨레말큰사전은 이를 통일해 어떤 것은 올리고 어떤 것은 빼 35만여개로 줄이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북측에서는 남측의 세금관련 말들이 200개가 넘는 것을 의아하게 여기며 "월급 받아서 다 빼면 뭐 먹고 사느냐"며 "다 빼자"고 주장하는 반면, 남측에서는 북측의 혁명관련 단어가 200개나 돼 모두 다 올릴 수는 없으니 줄이자고 해 서로 논의하고 합의하는 중이라는 것.
남북간 또 다른 쟁점인 '여자(남)/녀자(북)'와 같은 두음법칙과 '등굣길(남)/등교길(북)' 같은 사이시옷 문제인데 어떤 것이 합리적인지 그 연원을 조선시대까지 올라가며 회의가 진행중이며 "올해까지 어떤 규범으로 사전을 만들 것인지 합의할 것"이라고 그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