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수요조사를 거쳐 지난 2006년 MBT시설 시범지역으로 부안(농촌형)을 비롯 수도권매립지(광역형)·부천(도시형)·강릉(준도시형) 등 4곳을 선정했다.
이에따라 부안군은 국비 12억을 포함해 모두 45억원을 투입, 현 생활폐기물매립장이 소재한 관내 줄포면 줄포리 후촌마을 인근에 MBT시설을 연내 착공한다는 계획으로 설계용역 중에 있다.
더불어 MBT시설이 자원순환형 쓰레기 처리방식으로 매립장 추가설치에 따른 비용절감 및 환경오염 예방· 신재생에너지 확보 효과 등이 크다는 점을 알리는 설명회를 우선적으로 줄포면 이장들을 대상으로 갖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줄포면 일부 주민들이 "지난 20여년간 악취 등의 공해를 유발한 관내 생활폐기물 매립장에 MBT시설이 설치될 경우 오는 2017까지 예정된 사용기간이 최대 40년까지 늘어날수 있다"고 반발하며 대책위를 구성하고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세규합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 지난 1990년대 생활폐기물 매립장이 들어설 때처럼 인근 마을주민들에 국한해 MBT시설과 관련된 협의 및 보상이 이뤄져서는 안된다"며 "모든 면민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부안군 환경녹지과 관계자는 "시범지역으로 선정돼 국비까지 지원받고 매립량을 1/4로 줄이는 MBT는 매립지난 해소 등의 효과가 커 반드시 이뤄져야 할 시설이다"며 "지역주민들과 합리적인 방안을 강구하려고 있으나 대표성있는 주민창구가 없어 아직 협의를 갖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