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와 익산시, 고려사학회가 공동주최하는 '익산 백제 미륵사지의 재발견' 학술대회가 16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원광대 60주년기념관에서 열린다.
이날 미술사 전공자인 이귀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장은 사리장엄의 출토 과정과 봉안 상태에 대해 조사 당시 촬영한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익산 미륵사지 석탑 출토 사리장엄의 의의'를 발표한다. 이실장은 1993년 충남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창왕명 사리감'과 2007년 부여 왕흥사지에서 출토된 목탑 사리장엄에 이어 출토된 미륵사지 사리장엄을 백제 사리장엄의 전개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부각시킬 전망이다. 특히 공예사적인 의의를 집중조명할 예정.
고대사 전공자로 '백제 무왕의 익산 경영과 미륵사'를 발표하는 박현숙 고려대 교수는 그동안 학계 논의가 선화공주와 사택씨 왕후에만 초점이 맞춰져 온 것에서 벗어나 미륵사 건립 주체를 단계적으로 나눠 보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사리봉안기를 제일 먼저 해석한 김상현 동국대 교수는 미륵사 발원자는 사택왕후로 미륵사 전체를 창건했다는 자신의 주장을 무왕대 불교계 동향과 관련해 보완발표할 계획이다.
동탑 조사보고서와 서탑 조사보고서를 분석한 양정석 수원대 교수는 동일한 유적에 대해서도 조사기간이 장기간에 걸치면서 전혀 다른 해석이 나오고 있다고 지적, 미륵사지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과정 자체에 대한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할 예정이다.
국문학자인 나경수 전남대 교수는 '백제 무왕의 서동설화와 미륵사'에 대해 발표한다.
종합토론은 오후 4시30분부터. 정재윤(공주대) 이강근(경주대) 현승환 교수(제주대)와 조경철 박사(한국학중앙연구원)가 토론에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