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재정이 취약한 자치단체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국비지원과 함께 대상마을 선정시 선택과 집중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참살기 좋은 마을 가꾸기 사업은 숨어있는 마을 보물을 찾아내고 잘가꿔 녹색체험장 및 관광자원화해 마을소득 증대로 연결하고 주민들의 자긍심을 높이자는 취지로 지난 2007년부터 일선 시군에서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행안부가 전국적으로 선정된 마을중 콘테스트를 거쳐 우수마을에만 인센티브(1억~2억원)만 줄뿐 사업추진에 따른 국비는 전혀 지원하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선 시·군은 재정 형편상 이 사업추진 예산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데다 대상마을도 지역구 기초의원들을 의식해 거의 모든 읍·면·동에서 선정, 사업비가 푼돈화되고 관광자원화 및 마을소득증대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부안군의 경우 지난 2007년부터 올해까지 참살기 좋은 마을가꾸기 사업을 위해 매년 2억6000만원을 확보, 공모를 통해 관내 13개읍·면에서 각 1개씩 13개 대상마을을 선정, 마을당 2000만원씩 지원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상마을중 일부 사업은 차별성도 없고 관광자원으로 부족한데다 2000만원의 사업비론 마을가꾸기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제대로 된 마을을 가꾸기 위해선 적어도 사업비가 1억 정도는 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행안부 마을가꾸기 우수마을 콘테스트에서 도내선 2007년에 고창군이 우수상· 군산시가 장려상을 , 2008년에는 대상에 군산시 신시도와 고창 교촌마을·우수상은 정읍 공동마을이 각각 차지했다.